본문 바로가기
컴퓨터/잡다한 상식

정보통신 유지보수 업체에서 하는 일

by 오!쎈세! 2024. 3. 25.

유지보수 업체에서 하는 일

한 장소에 상주하여 일을 하거나 차량을 가지고 계속 이동하는 두 가지 경우가 대부분이다.

1. 컴퓨터 유지보수

조달청(나라장터) 및 수의계약 등을 통해서 국가기관, 기업, 단체등에 납품된 컴퓨터에 대한 유지보수.
제조사에서 납품한 컴퓨터를 설치하는 업무를 하기도 하며, 지역 및 기관에 따라 토요일에도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도 있다. 

2. 네트워크 유지보수

조달청(나라장터) 및 수의계약 등을 통해서 국가기관, 기업, 단체등에서 구매/설치한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네트워크 케이블 포설작업을 하기도 하고, 라우터에 연결해서,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유지보수가 대부분이며, 주로 하는 작업을 L1, L2, L3, L4, L5, L6, L7 등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외부 공사의 경우, 장비까지 땅을 파서 통신 케이블을 묻는 관로 공사를 하기도 한다.

3. CCTV 유지보수

조달청(나라장터) 및 수의계약 등을 통해서 국가기관, 기업, 단체등에서 보안을 요구하는 장소에 CCTV를 설치 및 유지보수. 고소작업시,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4. 주차장 유지보수

조달청(나라장터) 및 수의계약 등을 통해서 국가기관, 기업, 단체등에서 운영하는 주차장에 차단기 및 차량번호 식별장치등을 설치 및 유지보수.

5. 그 외 

컴퓨터, 네트워크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 Microsoft Office 에 대한 기술지원을 하는 경우가 있다.
Microsoft 가 아닌 유지보수 업체에서 기술지원을 받는다는 것은 고객사의 편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사무자동화 산업기사, 컴퓨터 활용능력 자격증을 가지고 있거나 Microsoft Office 사용에 능숙한 경우 도움이 된다. 


OSI 7계층 간단 정리 (L1 ~ L7)

L1 (허브 or 더미허브)
OSI 계층중, 가장 하위 계층인 1단계 물리 계층에서 작동하며, 연결된 모든 장비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L2 (스위칭 허브)
OSI 계층 중, 2단계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L1 과 다른점은 연결된 장비의 MAC 주소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들어온 패킷을 MAC 주소에 해당되는 장비에 전달한다.

L3 (라우터, 공유기)
OSI 계층중, 3단계 네트워크 계층에서 작동하며, L2 에 추가로 IP 주소까지 할당되어 저장된다.
WIFI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며 ISP업체에서 빌려주는 AP장비도 해당된다.

L4 (Trans Port / 전송 계층)
OSI 계층중, 4단계 전송 계층에 해당되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모든 요청을 1차로 받아들이는 계층이다.
L3 에 추가로 TCP/UDT 포트번호 정보를 참고하여 스위칭 한다.
여러개의 서버를 사용하는 환경에서 특정 서버가 사용자 증가로 헤비트래픽이 발생하는 경우, 적절하게 로드 밸런싱 한다.

L5 (Session / 세션 계층)
L1 ~ L4 까지가 물리적인 연결이라면 L5 부터는 논리적인 연결로 이해하면 좋을것 같다. TCP/IP 세션을 생성/삭제할 수 있다. 

L6 (Presentation / 표현 계층)
L5 에서 받은 통신 데이터를 표현하는 계층으로 암호화 및 코드간의 번역(인코딩/디코딩)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다른 사람과 통신하면서 텍스트와 동영상 데이터를 받았다면 이것을 인지하고 해석 후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처리하는 단계이다.

L7 (Application / 응용 계층)
OSI 계층중, 마지막 단계로 http, ftp, sftp, smtp, telnet 등 사용자의 필요도에 따라 적절한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계층이다.

※ 국가기관의 경우, 컴퓨터에 망전환장치라고 해서 과거 모뎀과 같은 기기를 장착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내부망/외부망 사용을 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