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7 의 하이버네이션 (Hibernation) 및 페이징 작업 활성화 설정으로 증상이 나타난다.
윈도7 의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및 페이징 작업 활성화 설정이 되면
하드 디스크(혹은 SSD) 의 용량을 사용하게 되므로 실재 남은 공간이 약 10GB 정도 부족하게 나타난다.
아래 그림에서는 하이버네이션 활성화 상태에서 25.7GB 라고 표시된다. (수치는 제품마다 다를 수 있다)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및 페이징 작업 설정을 비활성화로 해주면 된다.
1.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비활성화
① 시작을 클릭하고 cmd 라고 입력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② powercfg -h off 라고 입력후 를 치면 하이버네이션 (Hibernation) 비활성화.
powercfg -h on 이라고 입력후 를 치면 하이버네이션 (Hibernation) 활성화.
③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설정 상태에 따른 디스크 용량의 차이.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 비활성화 후. 25.7GB 에서 19.7GB로 6GB 정도의 용량이 추가로 확보되었다.
(수치는 제품마다 다를 수 있다.)
2. 페이징 작업 설정 비활성화
① 시작 → 컴퓨터에 마우스 우측버튼을 클릭후 속성으로 진입
② 좌측에 고급 시스템 설정으로 진입 후, 성능 탭의 설정을 클릭
③ 고급 → 변경 순으로 클릭
④ 페이징 파일 없음을 클릭후 설정을 클릭, 경고창이 나타나면 예를 클릭
⑤ 적용 → 확인을 클릭하고 또 확인을 클릭
⑥ 지금 다시 시작을 클릭해서 컴퓨터를 재부팅
재부팅해서 확인을 해보면 디스크의 용량이 더 확보가 된 것이 확인된다
19.7GB 에서 12.1GB 로 약 7.6GB 의 공간이 추가로 확보되었다
(수치는 제품마다 다를 수 있다)
'컴퓨터 > 각종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버추얼박스에 우분투 20.44 LTS 설치 (0) | 2023.09.12 |
---|---|
[윈도10] PE 를 사용하는 이유 (0) | 2023.03.06 |
윈도7 네이버에서만 인증서 오류 (0) | 2018.09.30 |
[윈도10] RS2 상태에서 이전 빌드로 돌리기 방법 (0) | 2017.06.09 |
[윈도8.1] 키움증권 HTS 이용 중 갑자기 멈추는 증상 (0) | 2016.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