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용하면서 느리거나 뭔가 부족하다고 느껴질때 업그레이드를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무작정 아무 부품이나 구매했다가 호환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하다면 비용과 시간만 낭비하게 될 것이다.
아래 내용은 직접 부품 교체가 가능하나, 부품을 고르는데 약간의 도움이 필요하거나
브랜드 또는 사설 업체를 통해서 업그레이드 진행시, 부품별 업그레이드에 대한 사전 정보를 어디에서 어떻게 얻어야 하는지 기재해봤다.
※ 업그레이드는 보통 메인보드와 케이스 크기를 기준으로 진행되며, 상황에 따라 다른 부품의 추가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브랜드 PC 는 해당 업체를 통해서 어떤 문제로 업그레이드를 하려고 하는지, 어떤 부품을 업그레이드 해야 하는지, 최대 어디까지 업그레이드가 가능한지, 비용은 얼마나 발생하는지 문의하면 된다.
조립 PC 역시 마찬가지로 업그레이드 이유와 어떤 부품을 업그레이드 해야하는지 잘 아는 지인 또는 온라인, 사설 컴퓨터 업체등에 문의 및 서비스를 요청하면 된다.
1. CPU
①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가 최대 어떤 CPU 까지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 조립 제품이면 메인보드 모델명을 확인하고,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지원 가능한 CPU 목록을 확인한다.
- 상황에 따라 BIOS 업데이트가 필요하거나 업그레이드가 불가한 경우도 있다.
- 브랜드 제품이면 제조사의 고객센터로 연락하여 CPU 지원 여부를 확인한다.
- 일부 브랜드 제품의 경우, BIOS 업데이트가 불가한 경우도 있다.
② 최대 사양 CPU 선택시 기존 사용중인 쿨러로 계속 사용해도 될지 여부를 확인한다.
- 기존 쿨러로 냉각이 어려운 경우, 쿨러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데, 이때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의 크기가 맞지 않거나 파워의 용량이 부족한 경우, 추가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2. RAM
① 사용하고 있는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슬롯의 갯수와 슬롯당 인식이 가능한 최대 용량을 확인한다.
- 예를들어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메모리 슬롯이 4개 이고, 슬롯당 최대 8GB 씩 인식이 가능하다면 해당 메인보드는 8 GB x 4 개 = 32 GB 이므로 최대 32GB 까지 인식이 가능하다.
② 메모리 슬롯에서 지원하는 최대 메모리 동작 규격을 확인한다.
- 예를들어 메인보드 메모리 슬롯에서 지원하는 최대 동작 규격이 DDR4 2666 Mhz 이라면 DDR4 3200 Mhz 장착을 하는 경우 보통 2666 Mhz 속도로 맞춰서 동작하지만 간혹 인식이 불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메인보드 제조사 또는 컴퓨터 제조사에 호환성 문제없이 사용 가능한지 확인 후 구매하는 것이 좋다.
③ 추가 장착이 가능한 빈 공간이 있는지 확인한다.
- 빈 공간이 없다면 기존 사용하고 있는 메모리를 제거하고 좀 더 용량이 큰 메모리를 장착해야 한다.
이때 앞서 언급했던 슬롯당 인식이 가능한 메모리의 최대 용량과 동작 규격을 확인하도록 하자.
3. 외장 그래픽카드 (VGA)
외장 그래픽카드는 모델마다 길이와 두께, 전력 소모량, 메인보드와 호환성 등 3개 항목을 확인해야 한다.
①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에 들어갈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슬림형 케이스를 사용한다면 LP (Low Profile) 가이드를 사용하는 제품을 장착해야 하며, 일반 가이드를 사용하는 제품을 사용하려고 한다면 케이스를 큰 것으로 교체해야 한다.
- 외장 그래픽카드가 길어서 케이스 전면에 있는 HDD/SSD 등에 닿거나 들어가지 않는 경우, 그래픽 카드의 길이가 짧은 것으로 교체하거나 케이스의 전후면간 길이가 긴 케이스로 교체해야 한다.
② 사용하고 있는 파워의 용량으로 충분하게 동작이 가능한지 확인해야 한다.
- 외장 그래픽 카드를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 하더라도 파워의 출력이 낮으면 사용하기 어렵다.
- 외장 그래픽 카드를 사용하는데 적정한 용량을 외장 그래픽 카드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 문의해보고 구매해야 한다.
- 외장 그래픽 카드의 경우, 보조 전원을 추가로 연결해 주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 파워 구매 전, 광고 페이지에 기재된 내용을 확인 후, 구매하도록 하고 내용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파워 제조사 또는 유통사에 문의 후 구매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③ 메인보드와 호환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 일부 메인보드의 경우, 외장 그래픽카드 장착시 다른 부품과 닿거나 주변 확장 슬롯을 가리는등 간섭의 문제로 장착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구매전 그래픽카드 제조사 및 유통사 홈페이지, 고객센터를 통해 그래픽카드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가로/세로/두께)
4. 파워 서플라이 (PSU)
보통 파워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손 댈 이유가 없는 부품이나, 고사양 외장 그래픽 카드를 장착해야하는 경우, 더 높은 출력의 파워로 교체가 필요할 수 있다.
① TFX 파워
보통 슬림형 케이스에 사용되는 파워로 현재 400W 출력의 제품까지 출시되었다.
② ATX 파워
일반적으로 파워라 불리우는 제품들에 해당되며, 보통 500W ~ 850W 정도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이 대부분이다.
선이 나오는 형태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구분된다.
- 케이블 일체 타입 : 가장 기본적인 형태
- 모듈러 타입 : 필요한 케이블만 파워에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형태
- 세미 모듈러 타입 : 케이블 일체 타입가 모듈러 타입의 중간 형태로 일부만 모듈러 타입으로 구성된 형태
5. CPU 쿨러
앞서 CPU 업그레이드 시 추가로 장착해야할 수 있다고 언급했던 것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CPU 가 발열이 높은 제품이라면 아래 내용을 꼭 확인 후, 구매하도록 하자.
① 공냉 쿨러 또는 수냉 쿨러를 사용할지 여부
보통 공기 냉각방식인 공냉 쿨러를 사용하고 있으나 발열이 높은 CPU는 물로 냉각시키는 방식인 수냉 쿨러를 권장하는 경우가 있다.
보통 인터넷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CPU 가 공냉으로 충분한지 수냉을 권장하는지 확인이 가능하니 구매 전 참고 하도록 하자.
② 케이스와 호환 가능한지 여부
별도로 구매하게 되는 쿨러는 보통 사제쿨러라 불리우고 있으며, 기본 쿨러와 비슷한 사이즈의 제품도 있으나 고효율 냉각을 하는 공냉쿨러는 크기가 매우 크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에 장착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쿨러의 경우 광고 내용에 높이가 표시되어 있으니,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의 메인보드에서 덮개까지 길이를 확인해보면 도움이 된다.
예를들어 구매하고자 하는 공냉쿨러의 높이가 150mm 라고 되어 있다면, 사용하고 있는 케이스의 메인보드에서 덮개까지 길이는 그 이상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③ 메인보드와 호환성 여부
메모리(RAM) 및 다른 기기의 방열판등에 간섭없이 사용이 가능한지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6. HDD / SSD
여러가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보조 기억장치로 업그레이드를 하기 전, 아래 내용을 확인해야 한다.
① 용량 부족이 맞는지 확인
- 임시 파일등 여러가지 데이터가 계속 누적되어 있는 경우 저장 공간이 부족해지니 정리한다.
② 업그레이드가 가능한지 확인
- 슬림형 케이스를 사용하는 일부 데스크탑 제품이나, 노트북, 태블릿의 경우, 여유 공간이 없거나 온-보드 일체형 제품인 이유로 업그레이드가 불가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제조사등에 확인을 해보는 것이 좋다.
혹시라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다면 어떤 규격의 제품을 구매하면 좋을지 물어보고 구매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7. 케이스 (CASE)
보통 케이스 전면부로 찬 공기가 들어오고, 케이스 내부의 뜨거운 공기는 후면부로 빠져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메인보드 + 파워 + 외장 그래픽카드 등이 모두 들어갈 수 있는 것으로 흡기와 배기가 잘되어 쿨링에 유리한 제품으로 구매하는 것이 좋다.
길이가 긴 외장 그래픽카드가 충분하게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인지, 사용하고자 하는 메인보드의 장착이 가능한 크기인지, 큰 CPU 방열판이 들어갈 수 있는지 여부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
'컴퓨터 > 조치 및 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이밍 노트북 CPU 온도 낮추는 방법 (1) | 2023.04.11 |
---|---|
ASUS B150M-A/M.2 CPU 업그레이드 (0) | 2023.04.01 |
[윈도11] LD PLAYER 가상화 오류 (0) | 2023.03.30 |
[윈도10] PE ISO 이미지 만들기 (0) | 2023.03.20 |
RUFUS - 윈도10 설치용 USB 만들기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