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2

[윈도10] 이벤트 뷰어로 오류 원인 찾기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기기적인 문제(H/W)와 소프트웨어 문제(S/W)가 발생하기도 한다. 구매하고 아무런 문제없이 사용하는 행운을 누리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여러 가지 크고 작은 문제로 불편을 겪는 사람들이 있다. 과거 PC 제조업체에서 일 하면서 전국의 서비스센터에서 문의해 온 여러 가지 문제들을 처리하고 모은 데이터를 보면 H/W 문제도 있었지만, 대부분 S/W 문제가 (상대적으로) 더 많았다. 가벼운 문제는 윈도 및 드라이버의 설정이 원인이 되기도 하고, 조금 무겁다 싶은 것은 윈도 종료 및 드라이버 설치, 특정 앱 설치/제거 작업, 윈도 업데이트 또는 롤백, 악성 앱 등의 이유로 발생하기도 한다. 이때, 엔지니어들이 현장에서 문제를 한 번에 파악하고 조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조치를 해도 증.. 2024. 4. 8.
DISM 이란 무엇인가? DISM(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 배포 이미지 서비스와 관리) 도구는 Windows 이미지를 복구하거나 Windows 설치 미디어를 수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관리자 수준의 명령줄 실행 파일이다. ※ 윈도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는 .wim 이다. 윈도 비스타(VISTA)에서 처음 도입되었고 윈도11에서도 동일하게 작동한다. 윈도 업데이트 설치, 윈도 이미지 복구등에 이용할 수 있다. ① 윈도 이미지의 손상 여부 확인 : Dism /online /cleanup-image /scanhealth ② 손상된 윈도 이미지 복구가 가능한지 확인 : Dism /Online /Cleanup-Image /CheckHealth sfc ※ 이미지를 복구할 수 있는 경우,.. 2024. 3. 27.
정보통신 유지보수 업체에서 하는 일 유지보수 업체에서 하는 일 한 장소에 상주하여 일을 하거나 차량을 가지고 계속 이동하는 두 가지 경우가 대부분이다. 1. 컴퓨터 유지보수 조달청(나라장터) 및 수의계약 등을 통해서 국가기관, 기업, 단체등에 납품된 컴퓨터에 대한 유지보수. 제조사에서 납품한 컴퓨터를 설치하는 업무를 하기도 하며, 지역 및 기관에 따라 토요일에도 유지보수를 하는 경우도 있다. 2. 네트워크 유지보수 조달청(나라장터) 및 수의계약 등을 통해서 국가기관, 기업, 단체등에서 구매/설치한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유지보수. 네트워크 케이블 포설작업을 하기도 하고, 라우터에 연결해서,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유지보수가 대부분이며, 주로 하는 작업을 L1, L2, L3, L4, L5, L6, L7 등으로 표시하기도 한다. 외부 공사의 경우.. 2024. 3. 25.
ASUS B450M PRO II 종료 후, 부팅불가 2023년 8월 ASUS B450M PRO II 메인보드를 기본으로 하는 본체 2대를 조립했었는데, 1대가 윈도10 종료하면 전원버튼을 눌러도 켜지지 않는다. (파워서플라이 ON/OFF 스위치를 여러번 리셋해야 겨우 켜짐) 추가증상 게임을 돌리다 보면 인터넷 연결이 종종 끊어진다. (핑 테스트시 끊김) 메인보드의 AURA 기능을 OFF 해도 LED가 꺼지지 않는다. 테스트 항목 1. CMOS 클리어 (해결안됨) 2. RAM 재장착 및 교체, 다른 슬롯에 연결 (해결안됨) 3. 전원버튼이 불량인가 싶어서 메인보드에 있는 전면 패널에서 파워스위치 부분을 쇼트 (해결안됨) 4. 다른 파워로 교체 (해결안됨) 5. 그래픽카드를 다른 것으로 교체 (해결안됨) 유통사인 대원CTS에 전화해서 방문하겠다고 하니, 본체.. 2024.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