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 암호가 기억나지 않거나 분실한 경우, 보통 두 가지로 초기화를 진행한다.
1. 윈도에서 초기화 시키기
(상황에 따라 윈도 설치용 USB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2. 윈도PE에서 앱으로 초기화 시키기
1. 윈도에서 초기화 시키기
윈도 암호 입력화면이 나오면
화면 우측 아래에 있는 전원 버튼 1회 클릭
키보드 왼쪽 Shift 버튼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다시 시작 클릭
옵션 선택 화면이 나타나면 문제 해결 클릭
고급 옵션 클릭
명령 프롬프트 클릭
명령 프롬프트 창이 나타나면 아래 명령을 실행한다.
copy c:\windows\system32\utilman.exe c:\windows\system32\utilman.bak <Enter>
(1개 파일이 복사되었다고 나오면 성공)
아래 명령을 실행한다.
copy c:\windows\system32\cmd.exe c:\windows\system32\utilman.exe <Enter>
덮어쓰겠느냐고 물어보면 Y 한번 누르고 엔터
(1개 파일이 복사되었다고 나온다면 성공)
명령 프롬프트 창을 닫는다.
옵션 선택 화면에서 계속 클릭
암호 입력화면이 나오면 로컬계정 이름을 확인하고
화면 오른쪽 아래에 접근성 아이콘을 클릭
명령 프롬프트 창이 나타나면 아래 명령을 실행한다.
net user User 1234 <Enter>
명령 프롬프트 창을 닫고 재 부팅한다.
User 라는 로컬계정이 사용했던 이전 암호는 알 수 없으나 암호가 1234 로 변경되었으니 로그인을 해보도록 한다.
로그인이 잘 된다면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하고 아래 명령을 순서대로 실행한다.
copy c:\windows\system32\utilman.exe c:\windows\system32\cmd.exe <Enter>
copy c:\windows\system32\utilman.bak c:\windows\system32\utilman.exe <Enter>
이렇게 해두어야 아무나 로그인 화면에서 로컬계정 암호를 바로 초기화 시킬 수 없을테니..
2. NTPWEdit 이용
로컬 계정 암호를 알아낼 수 없으나 초기화 시킬 수 있는 앱이다.
보통 윈도PE 에 포함시켜서 사용하며, 앞서 언급했던 과정을 그래픽 환경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져서 편리하다.
윈도 PE에서 NTPWEdit 앱 실행
로컬 계정 클릭
Change password 클릭
2개 칸에 동일하게 암호 입력하고 OK 클릭해서 변경 (대충 1234 입력해서 넣고 윈도 부팅후 다시 변경하는 것을 권장)
Save Changes 클릭해서 변경완료
이제 윈도 암호가 정상적으로 변경되었는지 확인하면 된다.
'컴퓨터 > 조치 및 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 쿨러 소음 줄이는 방법 (1) | 2025.01.14 |
---|---|
공인인증서 복사하기 (0) | 2024.10.02 |
ASUS B450M PRO II 종료 후, 부팅불가 (2) | 2024.03.21 |
자작나스의 장단점 (0) | 2023.12.07 |
윈도10 부트 오류 복구 (Legacy & UEFI)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