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갑자기 컴퓨터 사용중 블루스크린 및 재부팅 증상이 발생한다며 도움을 요청했다.
![](https://blog.kakaocdn.net/dn/I1PWp/btr133Ws9cb/tBTEoCxYLrpJBrzYJrgp20/img.jpg)
사양은 아래와 같다.
CASE - ABKO NCORE ASURA
PSU - Unknown 600W
M/B - ASROCK AB350M Pro4
CPU - AMD 2400G
RAM - SAMSUNG DDR4 8GB x 1
VGA - COLOERFUL GTX 460
SSD - SAMSUNG 840 EVO (2.5 / S-ATA)
OS - WINDOWS 10 HOME
윈도10 부트하면서 블루스크린이 발생하는 상황이라
먼저 내장 그래픽으로 동작을 시켜봤으나 동일하게 블루스크린 발생
BIOS 초기화 시키고 UEFI 상태로 세팅 , RAM 접촉면을 지우개로 살살 닦아준 뒤, RAM 슬롯 청소 후, 위치를 변경해봤으나 동일
RAM 교체를 해봐도 동일
LAN 케이블 제거 후, 내장 그래픽 상태에서 윈도 10 (UEFI) 재 설치를 하였으나 동일
SSD 를 M.2 NVMe 인터페이스 제품으로 장착 후, 윈도 10 (UEFI) 재 설치하니 블루스크린 안뜸
기존 S-ATA 인터페이스 SSD 를 서브로 물려서 켜보니 오류 메시지 뜸 (기존 SSD 오류 확인)
GTX 460 장착하니 인식불가
이 증상은 UEFI 지원하는 메인보드에 UEFI 미지원 그래픽카드를 장착하는 경우 발생하며, BIOS에서 CSM 설정을 별도로 해 주거나, 그래픽카드의 펌웨어를 업데이트 해주면 된다.
CSM 설정을 해주니 인식 하나, 블루스크린 발생
그래픽 슬롯 및 접촉면을 지우개로 잘 닦아내도 동일
바이오스 설정을 UEFI 가 아닌 LEGACY 로 하고, 윈도를 다시 설치해봐도 동일
GTX 1050 으로 장착해서 확인을 해보니 블루스크린 안뜸 (기존 GTX 460 불량 확인)
바이오스 설정을 UEFI 상태로 설정하고 윈도10 재 설치 후, AS350M Pro4 메인보드에서 필요한 드라이버는 ASROCK 에서 배포하는 윈도10 드라이버 중 칩셋, 내장 그래픽, 마더보드 유틸리티 세 가지를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고 나머지 드라이버는 윈도10 업데이트를 통해서 설치해서 마무리 하였다.
메인보드가 M.2 / NVMe 를 지원하여 교체하였고, 친구가 기존 2.5 / S-ATA 제품을 사용할때 보다 읽기 속도가 더 빨라진거 같다며 만족스러워 한다.
잘 마무리 되어 나 역시 만족스럽다.
ASROCK 드라이버 다운로드 링크
https://www.asrock.com/MB/AMD/AB350M%20Pro4/index.kr.asp#Download
ASRock > AB350M Pro4
프리미엄 전원 초크 과거의 초크와 비교해서, ASRock 의 차-세대 프리미엄 전원 초크는 최대 3배 더 좋은 포화 전류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며, 마더보드에 강화되고 개선된 Vcore 를 공급합니다.
www.asrock.com
'컴퓨터 > 조치 및 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10] PE ISO 이미지 만들기 (0) | 2023.03.20 |
---|---|
RUFUS - 윈도10 설치용 USB 만들기 (0) | 2023.03.20 |
L7SUXG 노트북 배터리 제거 (0) | 2022.11.13 |
캐리북(J3R+), 부트가 안되고 EFI SHELL 화면만 보일때 기본 조치법 (0) | 2020.02.19 |
[윈도7] 로그온이 Group Policy Client 서비스에서 실패했습니다. UUID 유형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0) | 2016.11.16 |